본문 바로가기

생 활 역 학

12운성 포태법

12운성 포태법



1. 장생 (長生)



막 태어남 울음소리 크다.  

사명/ 소명의식

시작은 어리나 내부적 에너지가 축적된 상태.

모양은 작아도 기운은 강하다.

아기란 무시무시한 사람도 함부로 범접할 수 없는 기운을 가지고 있다.


2. 목욕(沐浴)



발가벗고 다녀도 흉이 아닌 아이의 상태.

묵은 때를 벗겨내고 스스로 씻는 모습으로 신선도를 유지.

일명 도화에 해당하며 목욕지에 해당하는 사람은 상모가 아이처럼 귀엽고 태릴라고 하여도 아이처럼 씩 웃으니 때리지 못하는 귀여움이 있다.

국회선거 하는 사람이 이 운이 되면 내 호주머니를 열어주는 상태이고 사업구상을 하여도 돈을 소비해 버리고 써버리는 짓만 한다.


3. 관대(冠帶)



소년/ 허리띠를 둘러 폼을 잡는 모습으로 다른 동물과는 구별이 확연히 되는 상태.

사자털 자람. 동물이 자기의 옷(털과 가죽)을 입어 다른 동물과는 다른 단계이다.

자신의 뜻을 세우는 시기.


4. 건록(建祿)




신분형성 

세상에 뜻을 세움


5. 제왕(帝王)


30 ~ 40代 

신분에 따른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뜻을 양보하지 않는다.

수장의 역할을 한다.


쇠(衰)



40 ~ 50代

원로, 원수, 노련함

싸우면 지지 않을 수 있는 노련함이 있다.

공격하면 한번씩 되받아 친다.


병(病)



50代 후반 ~60代 중반

기상이 많이 꺽어진 상태

은퇴, 떠남, 활동둔화, 전의상실, 수족관의 물고기에 해당된다.

싸움을 회피한다.


사(死)



60代 후반 ~ 70代

모양은 있으나 죽은 것으로 간주

노쇠하며 마른기침이나 할 때.

수족관의 반 쯤 죽은 물고기.


묘(墓)



죽음의 상태

운기는 미미하나 모양은 사라진 상태.


절(絶)



제사상이나 받아 먹는 상태


태(胎)



다시 잉태된 상태

기운은 있으나 형체는 없다.

태 속에서 2 ~ 3주된 상태로 하고야 말겠다는 꿈이 있다.


양(養)



촉지

비록 보이지는 않으나 만지면 느낄 수 있는 형태로 세상에 아직 모습을 내놓지 않은 상태로 야망을 불태우고 있는 기간이다.



상담예약 : 나유정역학연구소 010  8126  7250




'생 활 역 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겁 살  (0) 2018.01.17
화계살-나유정역학연구소  (0) 2018.01.17
갑기화토 (甲己化土)  (0) 2017.12.11
정임화목(丁壬化木)  (0) 2017.12.10
병신화수(丙辛化水)  (0) 2017.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