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관계1
부성(父星)의 관찰
아버지궁은 년간(年干)과 관(官)을 위주로 관찰한다.
1, 년상에 용과 희신이 있으면 부가 유정하고 현명하여 후덕하다.
2, 관성이 용이거나 희신이면 부덕이 후덕하다.
3, 년상에 체나 기신이 있으면 부는 무능하고 무정하며 박덕하다.
4, 년상에 관을 극하는 상관이 있으면 부가 설 땅이 없으니 무력하다. 단 상관이 용이거나 희신이 면 유정하다.
5, 관성이 하나이고 용이거나 희신이면 부덕을 많이 본다.
6, 관성이 용이고 희신이지만 2개 3개 면 부력의 분산을 의미 하니 부의 능력이 감소한다.
7, 관성은 상관이 같이 있으면 극부의상(剋父之象)이니 부덕은 박하다.
8, 상관이 2개 3개 이면 부가 설 땅이 없으니 무능무력 하거나 떨어져 산다.
9, 관이 용이고 재가 있으면 재생관으로서 부덕이 배가됨을 의미한다.(물론 사주에서 재생관이 되 지 않더라도 대운이나 세운에서 재생관이 되어도 마찬가지다.)
10, 관이 체나 기신이고 재생관하면 부의 무능과 무정이 극대화한다.
11, 관이 체이면서 기신이고 많으면 부가 여럿이거나 많은 고통을 준다.
12, 관이나 년상이 공망이면 부덕이 박하다.
13, 년상과 관이 절이면 부덕이 무력하고 끊어짐을 암시하지만 용인 경우에는 절처봉생으로서 내 가 출생하면서 부운이 열린다.
모궁
모궁은 월지를 기준으로 하고 모성은 인성을 위주로 한다.
1, 월지에서 일간이 유정하면 모덕이 후하고 무정하거나 편고하면 모정이 박하고 무력하다.
2, 인성이 용이거나 희신이면 모가 유정하고 유능하며 후덕하다.
3, 인성이 체나 기신이면 모가 무정하고 무덕하다.(천간에 나타난 인성을 말함)
4, 인성이 둘 이상이면 생모가 무력하거나 무정하다. 단 용이면 유정하고 유덕하다.
5, 인성이 공망이거나 월지가 공망이면 모가 무력하고 박덕함을 암시 한다.
처궁
처궁운 일지, 처성은 재성을 중심으로 한다.
1, 일지에 용이나 희신이 있으면 처가 현명하고 내조가 극진하다.
2, 일지에 체나 기신이 있으며 처가 무정하고 무력하며 결혼하면서 운이 막히고 가정이 쓸쓸하다.
3, 처가 용이거나 희신이면 처가 유능하고 알뜰하며 유정하다.
4, 재가 체나 기신이면 처가 불리 하고 처를 얻고 재물이 모이지 않는다.
5, 재가 많으면 처가 여럿이거나 처를 얻고 운이 막힌다.
6, 내가 공망이면 처덕이 약하고 건강과 해로에 문제가 많다.
7, 일지가 충이면 해로가 어렵고 내조가 박하며 갈등이 많다.
부성(夫星)
부성(남편의 자리)는 일지중심, 부성은 관성이 된다.
1, 일지 위주의 판단은 남성의 처성관계와 동일하다.
2, 관의 용과 체의 판단 또는 재의 용과 체의 경우와 같다.
3, 관이 많으면 많은 남성이 따르는 미녀거나 매력적인 여성이지만 부덕은 박하고 일부종사가 어 렵다. 단, 용이거나 희신이면 부덕이 있고 해로한다.
4, 관이 공망이면 부군이 무력하고 박덕하다. 건강과 해로에도 지장이 많다.
5, 일지가 충이면 부군이 유능하면 생리사별하고 부군이 무능하면 해로한다. 덕을 보기 어렵다.
자성(子星)
남성은 관성위주 여성은 식신상관 위주, 자식궁은 남녀 모두 시주위주로 본다.
1, 시에 용이거나 희신이 있으면 남녀 모두 자녀가 유능하고 후덕하다.
2, 시에 절이 있으면 후사가 어렵고 있다면 떨어져 살아야 한다.
3, 시에 공망이 있으면 자녀를 얻기도 기르기도 어렵고 선무공덕이다.
4, 남성은 부성인 관성과 동일한 판단을 한다.
5, 여성은 식식 상관이 용이거나 희신이면 득자와 교듁이 순탄하고 자녀덕이 후하다. 반대로 체나 기신이면 자녀와의 인연이 박하다.
6, 자녀성이 많으면 자녀복이 박하고 자녀 때문에 고생이 많다.
7, 자녀운이 말년운이니 너후대운의 희신 기신을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노후 대운이 좋으면 자녀 운이 후하고 반대로 나쁘면 자녀운도 박하다.
형제궁
비견 겁재를 중심으로 판단한다
1, 비견 겁재가 용인 사람은 형제덕이 많다.
2, 비견 겁재가 체인 사람은 반대다 서로 대립 시기 질투 싸움이다.
3, 비견 겁재가 용일 때 인수가 있으면 더욱 형제복이 많다.
4, 비견 겁재가 용일 때 비, 겁을 치는 관살이 나타나면 형제덕이 무력해진다.
5, 사주에 관살이 많으면 형제가 귀하다. 특히 월간에 관살이 있으면 형제가 있어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6, 월간에 편관이 있으면 본인이 장남이거나 형제가 있어도 무기력하다.
7, 비견 겹재가 체일 때 관살이 있으면 형제가 나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많이 감소하나 형제덕은
여전히 부족하다.
출처 : 임한석의 생활역학교실 나유정 역학연구소 편저
제공 : 나유정역학연구소 010 8126 7250
필자 나유정은 ......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했다.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는 동안 학생들 개개인의 이성을 동양철학과의 상관성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동양학의 신비에 매료되 교사를 퇴직하고, 원광대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는 한편 나유정역학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생 활 역 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별 운세 판단원리 (0) | 2018.04.26 |
---|---|
일년 운세 보는 법 (0) | 2018.04.24 |
청명- 나유정역학연구소 (0) | 2018.03.21 |
천살 (0) | 2018.01.27 |
지살 (0) | 2018.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