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 활 역 학

청명- 나유정역학연구소

 

 

 

 

 

 

 

청명이란 24절기의 하나로 3월의 절기이다.  한식과 같은 날 또는 하루 전날이 된다.  때로는 식목일 과 겹치기도 한다.  태양 황경이 15도가 되는 때이다.  양력으로는 4월5일경에 들며, 음력으로는 2 ~3월에 든다.  

 

생태 : 오동나무 꽃이 핀다.

 

풍습 : 한식과 붙어 있어서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라는 속담도 있다.  이날과 관련된 술로 청명주가 있다.

농가에서는 논농사 준비 작업으로 논둑의 가래질을 시작한다.

 

중국과 대만 에서도 휴일이다. 단, 대만의 어린이날은 4월 4일인데, 해에 따라서 어린이날과 청명이 겹치는 경우가 있다. 이 해는 4월 3일도 휴일로 한다. 단 4월 4일이 목요일이면 3일이 아닌 5일을 휴일로 하여 연휴를 만든다. 2013년이 좋은 예. 

 

북한에서는 2012년부터 4월 4일 청명절로 공휴일로 하였다. 이는 식목일을 공휴일로 한 맥락과 비슷한 점이 있는데 천도교가 이날 쉬기 때문이다. 최재우가 경신년(1860년) 한식에 동학의 깨달음을 얻었기 때문이다.

 

《동국세시기》 청명조에 “대궐에서 느릅나무와 버드나무에 불을 일으켜 각 관청에 나누어주는데, 이것은 중국의 주나라 이래 당나라, 송나라에서도 행하여지던 예로부터의 제도이다.”라고 하였다.
《열양세시기》에서는 이와같이 불을 나누어주는 일을 한식조에 기록하고 있고, 청명에 대하여서는 언급이 없다. 불은 한식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니, 한식조에 기록하는 것이 옳다고 하겠다.
최남선(崔南善)은 한식의 풍속을 고대의 종교적 의미로 해석하여, 해마다 봄에 신화(新火)를 만들어 구화(舊火)를 금지하던 예속에서 나온 것으로 보았다. 청명과 한식은 흔히 같은 날이 되기 때문에 뒤섞이는 경우가 많으나, 청명은 농사력의 기준이 되는 24절기의 하나이므로 농사관계사항을 기록하는 것이 옳다.

 

명절 날 조상의 산소에 가서 묘사(墓祀)를 지내는 날은 설날, 한식, 단오(端午), 추석(秋夕) 등이지만 절사(節祀)로 가장 성하게 지내는 날은 한식과 추석입니다.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祭享)을 지내고, 민간(民間)에서도 조상의 묘전(墓前)에 술, 과일, (), 식혜(食醯), , 국수, (), () 등의 제물(祭物)을 차려놓고 제사를 지내는데, 이를 한식차례(寒食茶禮)라고 합니다. 후에 명절제사인 절사(節祀)는 동지(冬至)가 추가되어 다섯 절사(節祀)가 되었습니다.

 

출처 : 구글 도서검색  나유정 역학연구소 강의자료 편저

제공 : 나유정 역학연구소 010 8126 7250
아베의 죽음 나경원 의원의 정치인생, 윤석열 대통령의 당선 등을 비롯하여 일일이 열거하지는 못하지만
많은 미래의 일들을 정확하게 예견하여 문전성시(門前成市)를 이루고 있는 나유정역학연구소입니다..

필자 나유정은......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했다.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는 동안 학생들 개개인의 이성을 동양철학과의 상관성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동양학의 신비에 매료되어 교사를 퇴직하고, 원광대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였고 과목은 명리학, 작명이며 풍수(양택과 음택), 그리고 사주 의학을 공부하였습니다. 레이디경향 <이달의 운세> 작가로서 10년간 집필하였고, 현 레이디경향 <별자리 운세> 작가로 활동 중입니다. 개인상담도 해 드립니다.

필자의 당부말씀 : 본 포스팅은 N포털사이트에 등록된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나무 위키>에 밝혀진 사실을 토대로 작성되었으며 출생 시간이 없어 사주감정이 어려울 때는 필자가 유추한 시간을 사용하는 관계로 실제 생년월일과 다를 수 있으므로 감정 결과는 단순 흥미로 보아주시고 사주 공부를 하시는 분은 공부에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혹, 위의 글 속의 주인공의 정확한 시간을 아시는 분은 메시지나 댓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lifeyeokhak.tistory.com/

'생 활 역 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년 운세 보는 법  (0) 2018.04.24
육친관계 1  (0) 2018.04.23
천살  (0) 2018.01.27
지살  (0) 2018.01.24
재살(災煞)  (0) 2018.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