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석영 추명가

추명가 해설 31번- 33번까지 - 나유정 역학 연구소 추명가 31번 해설 日月間(일월 간)에 冲怨嗔(충 원진)과 從財格(종재격)에 透印綬(투인수-인수 투출)는 妻와母가 不合하여 밤낮姑婦(고부) 싸움이다. 종재격에 인수가 투출 하면 인수가 기신이고 또 재와 인수가 다투는 형국이니 고부간에 갈등이 있다고 보는 것이다. 일지와 월지가 沖(충)하거나 怨嗔(원진) 이 있거나 從財格(종재격)에서 印綬(인수)가 천간에 투간 되면 어머니와 아내가 다툰다. 충 : 자오충, 축미충, 인신충, 묘유충, 진술충, 사해충 상충(원진) : 자미원진, 축오원진, 인유원진, 묘신원진, 진해원진, 사술원진 등이 있다. 종재격에서는 인수가 病(병)이다. 또한 묘가 처와 불합 하는 것은 財印鬪箏(재인 투쟁)으로 재성과 인수가 충 하는 것이다. 추명가 32 변 해설 月中傷官(월중 상관) 比肩.. 더보기
추명가 해설 27번 - 30번 까지 - 나유정 역학 연구소 추명가 해설 27번 幼失慈母(유실자모) 아니하면 庶母養母(서모양모) 奉養(봉양)있어 兩家奉祀(양가봉사-두집제사) 하게되니 이것또한 運命(운명)일세. 어렸을 때 어머니를 잃지 않으면 庶母養母(서모양모) 奉養(봉양) 하여 兩家奉祀(양가봉사) 하게 되니 이것도 운명인가? 만약 인수끼리 합이 되면 엄마가 둘이라도 서로 뜻이 잘 맞고 형충이면 못 쓴다. 兩家奉祀(양가봉사): 두 어머니의 제사를 지내는 것으로 요즘은 드물지만 옛날에는 제사 때 紙傍(지방) 두개를 쓰는 경우가 있었다. 추명가 해설 28번 財星食神(재성식신) 同臨合(동임합)은 丈母奉養(장모봉양) 있게되고 月逢養生(월봉양생) 태어난몸 他家(타가)집에 자라난다. 월지에 養이나 長生宮을 놓은자를 말한다. 모든 養宮은 辰戌丑未. 甲 乙 丙 丁 戊 己 庚 辛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