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설 차례(茶禮)-나유정역학연구소 설날에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를 '설 차례' 라고 한다. 명칭도 다양하여 차사제사라고도 하며 제물과 관련하여 떡국차례하고 부르는 지역도 있다. 경상남도 김해에서는 정초제사. 강원도 태백에서는 '지세' 라고 부른다. 강원도 춘천에서는 나이수대로 만두를 먹는 풍속이 있는데, 설날 떡국이나 만두를 먹는 것은 나이를 한 살 더 먹는 것을 의미한다. 차례를 지내기 전에는 궂은 곳에 가지 않으며 정갈하게 준비해야 한다. 빨래. 빨래줄이 있으면 이것을 걷고방문을 모두 열어 놓아야 한다. 그리고 방의 불을 모두 켜 놓거나 대문에 불을 밝힌다. 차례 지낼 시간이 다가오면 설빔이나 깨끗한 옷으로 갈아입고 준비한다. 친정부모의 제사를 지낼 사람이 없어 출가한 딸이 지내는 경우도 있다. 이때는 시댁의 눈치를 보아야 하기 때문에.. 더보기
풍수 자연과 생활-나유정역학연구소 풍수 자연과 생활 현대인은 많은 시간을 건물내부에서 생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실내에 머무는 동안 건물의 위치와 자세, 지형에서 발생하는 기운과 부속물의 배치에서 나타나는 기를 동시에 받게 된다. 이와 같은 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건물의 방위, 규모, 배치형태와 주변의 도로, 다른 건물과의 관계, 건축물의 재료와 색상, 건물 내부 부속물의 형태와 방위, 가구의 조유와 장식등 여러 가지가 있다. 오행을 현대 생활풍수에 운명을 바꾸는 환경 개운 학 으로 응용 한다. 손자는 " 아침은 날카로운 기운이 있고, 낮은 게으르고 태만한 기운이 있고, 저녁은 하루를 정리하며 안심하는 기운이 있다. 날카로운 기운을 피하고 태만한 기운일 때 공격하여 승리를 도모하는 것이 병법을 바로 쓰는 사람이니, 이런 사람이 바로 기.. 더보기
육신과 직업- 나유정역학연구소 인수(印綬): 교육. 학원. 육영. 문화. 예술. 종교. 출판. 정치. 통역. 번역. 출판. 행정. 컴퓨터관련 직종. 방송작가. 응용미술. 일반예술. 저술. 기자. 창작적 업무 편인(偏印): 여행사. 소개업. 예능. 종교가. 디자인. 인테리어. 골동품. 보석. 오락. 역술. 부동산. 사이드. 출판업. 언론인. 인쇄업. 요리사. 여관. 이, 미용. 배우 비견(比肩): 프리랜서. 의사. 변호사. 미용 업. 언론사. 기자. 대리점. 조경. 스포츠. 물류유통. 사진. 종교. 지회. 지부. 출장소. 건축. 납품 업. 주유소 겁재(劫財): 기술. 스포츠. 구매. 창고관리. 경호원. 경비원. 기자. 보석세공. 투기업. 유흥업. 요식업. 사 금융업. 요리사. 운수업. 조각 식신(食神): 교사. 의사. 연구원. 생산. .. 더보기
오행과 직업 - 나유정역학연구소 인간은 사회에서 의식주를 생산하고 마련한다. 시(時)는 의식주를 장만하는 직장이요 생활 무대다. 일간이 어떤 직업에 적성이 있느냐는 육신과 오행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관, 비견, 식신, 정재와 같은 육신이 있으면 문관이요 내근이 적성이지만 편관. 편인, 겁재. 상관, 편재등과 같은 육신이 있으면 무관이요 외근이 적성에 맞다. 물론 이렇게 시간(時干)의 육신이 정. 편이냐 만 가지고 단적으로 판단하는 것은 현명한 판단법이라 할 수 없다. 시(時)가 용(用)이면 무슨 직업이든 생산적이고 능률적이며 의욕적인데 반해서 체(體)가 되거나 기신이면 직장이 부실하고 불안정하며 굴곡과 파란이 많다. 예를 들면 인수. 편인이 희신 이거나 시간(時干)에서 유력하면 기르고 가르치는 교사 또는 동물을 기르거나 원예 등에 적.. 더보기
왕 쇠 강 약 (旺衰强弱)- 나유정역학연구소 왕 쇠 강 약 (旺衰强弱) 강: 장생, 목욕, 부모 궁, 날로 성장 하고 강해지는 궁, 인성 비겁 식상은 쓰나 財(경쟁 기업 扶養 用人)와 官(직장 자립 출세 지배 임관)은 못쓴다. 약: 병. 사. 자녀 궁. 날고 쇠퇴하고 약화. 인성 비겁은 쓰나 식상(설기, 투자, 활동) 財 官은 쓰지 못한다. (단 官印相生 은 쓴다) 왕: 최강 건록 제왕. 영재 독립궁, 심신의 전성기, 식상, 재, 관은 쓰되 인성 비겁은 못쓴다. 단 재, 관이 많거나 식상 재, 관이 천간에 모두 나타나면 인성을 오히려 쓴다. 쇠: 최약, 절 태 태궁, 극도로 허약함 인성 비겁은 쓰되 식상 재 관은 못쓴다. 官印相生은 쓸 수 있다. 관대: 반강 반왕 (반숙)으로서 인성 비겁 식상은 쓰되 재, 관은 무리다. 인성이 있으면 관을 쓰고 비.. 더보기
운명과 대운- 나유정역학연구소 운명과 대운보기 인간은 누구나 오래도록 행복하게 살기를 원한다. 물론 부와 귀가 함께 갖추어진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대개의 사람들은 이런 부귀를 얻기 위하여 인생 중 많은 시간을 노력 하며 살아가고 있다. 언제쯤 부자가 될 수 있을지? 언제쯤 큰소리치며 살수 잇는 높은 자리에 한 번 앉아볼지? 희망하며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가고 있다. 이렇게 평소생활 중에도 부귀를 갈구하는 마음이 간절한데도 실제 현실 속의 우리들의 삶은 어떠한가? 극소수의 몇 사람을 제외하고는 부귀는커녕 매일 매일 살아가기에도 급급한생활 들이다. 대개의 사람들의 생활이 이러 하다 보니 자연 언제쯤 이 어려움이 풀리고 좋아질지를 알고 싶어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자신의 미래에 대한 희망을 점쳐보기도 한다. 필자 역시 어려운 시기가 몇 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