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 시 풍 속

설날 가신(家神)위하기

설날 가신(家神) 위하기


설날에는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는데 이때 집안에서 위하는 신령(家神)에게도 정성을 드린다.  지역과 가정에 따라 명칭은 성주상 차리기. 집안 위하기. 가신모시기 등으로 다양하다.

음력 정월 초하루에 차례를 지낼 때 가신도 위하는데 차례를 지내기 전. 후 또는 조상과 함께 모신다.  차례를 지낼 때 가신도 위하는데, 차례를 지내기 전. 후 또는 조상과 함께 모신다.


차례를 지내기 전에 모시는 형태가 많이 나타나며 조상과 함께 모시는 경우가 그 다음이다.  이역적으로는 전라남도에서 조상과 함께 가신을 모시는 경우가 다른지역보다 많이 나타난다.


집안에 모시는 신령은 성주. 삼신. 조왕. 터주. 지신등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집안의 어른으로 생각하는 성주를 가장 많이 모시고 있다.  집안에서 어른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조상보다 먼저 위하는 지역에 많이 나타난다.  또한 지손의 지에서는 조상을 모시지 않지만 성주에는 밥을 꼭 올린다.  가신에게 제물을 놓는 순서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전라북도의 일부 지역에서는 성주보다 삼신(아기를 점지해 주는 신)에 상을 먼저 놓는다.  충정남도 보령에서는 터주에 가장 먼저 제물을 가져다 놓고, 경상북도 포항에서는 시준에 제물을 먼저 놓는다.


제물은 설날 준비한 것을 골고루 준비하며 차례상보다 간단하지만 성의것 차린다.  제물을 진설 한 뒤에는 주부가 간단하게 비손을 하는데 한 해 동안 집안이 잘 되고 가족의 건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한다.


집안의 신령뿐만 아니라 가축우리. 광(창고)등에도 제물을 가져다 놓는다.  또한 잡귀들을 위해서도 제물을 준비한다.  잡귀들은 차례가 끝나면 상을 차려주는데 바가지에 밥과 음식을 조금씩 담아 담장 위나 대문에 놓는다.

이것은 오갈 데 없는 혼백들이 조상을 따라 왔기 때문에 조금씩 얻어먹고 돌아가라는 의미다.  이것을 경상남도에서는 물밥이라고 하며 전라남도 에서는 "허드렛상" 이라고 부른다.


명절에 가신을 위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행해졌지만, 그동안 조사되지 않았다.  최근에는 가옥의 개조로 인하여 점차 사라지고 있어, 관심을 필요로 한다.


출처 : 세시풍속 나유정역학연구소 편저

상담신청 : 010  8126  7250


'세 시 풍 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 참(聽讖)  (0) 2018.02.09
세배  (0) 2018.02.09
허재비 버리기  (0) 2018.02.06
복쌈 먹기  (0) 2018.01.22
노두놓기  (0) 2018.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