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 팥죽
[동국세시기]에 의하면 동짓날을 '아세(亞歲)'라 했고 민간에서는 흔히 '작은 설' 이라 하였다.
고대인들은 1년 중에서 밤이 가장 긴 동짓날을 태양이 죽음에서 부활하는 날로 믿어 축제를 벌이고 태양신에게 제사를 하였다.
중국 주(周)나라에서 당(唐)나라 까지 동지를 설로 삼은 것도 동지가 지닌 생명력과 광명의 부활력 때문이였다. 그래서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는 속신도 생기게 되었다.
동짓날에는 동지팥죽 또는 동지두죽(冬至豆粥). 동지시식(冬至時食)이라는 오랜 관습이 있는데 팥을 고아 죽을 만들고 여기에 참쌀로 단자를 만들어 넣고 끓인다. 단자는 새알만한 크기로 하기 때문에 '새알심'이라고 부른다.
팥죽을 다 만들면 먼저 조상님(사당)올리고 각 방과 장독. 헛간 등 집안의 여러 곳에 담아 놓았다가 식은 다음에 식구들이 모여서 먹는다. 사당에 올리는 것은 천신(薦新)의 뜻이고 집 안 곳곳에 놓는 것은 악귀를 모조리 쫓아내기 위함이다.
동짓날 팥죽을 쑤게 된 유래는 중국의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의 아들이 동짓날에 죽어서 역신이 되었다고 한다.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역신을 쫓기 위하여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 어느 임금이 난을 만나 피난을 가서 백마의 피를 뿌려 제사하였더니 난리를 무사히 보냈다고 한다. 그 후부터 백마의 피 대신 핏빛 나는 팥죽을 대신 쓴 데서 유래 한다고도 한다.
팥죽은 색이 붉어 양색(陽色) 이므로 음귀(陰鬼)를 쫓는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으며 민속적으로 널리 활용되었다.
전염병이 유행 할 때에 우물에 팥을 넣으면 물이 맑아지고 질병이 없어진다고 하며 사람이 죽으면 팥죽을 쑤어 상가에 보내는 관습이 있는데 이는 상가에서 악귀를 쫓기 위한 것이다.
사람이 드나드는 대문이나 문 근처의 벽에 팥죽을 뿌리는 것이나 경사스러운 일이 있을 때나 재앙이 있을 때에도 팥죽.팥떡. 팥밥을 하는 것은 모두 같은의미를 지니고 있다.
동짓날에도 애동지에는 팥죽을 쑤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동짓날에 동지가
초승에 들면 - 애동지
중순에 들면 - 중동지
그믐께 들면 - 노동지 라고 한다.
동지팥죽은 이웃에 돌려가며 서로 나누어 먹는다.
동지 점복
동지의 날씨로 점을 치는데, 보통 동지는 추워야 좋다고 하는데 날씨가 따뜻하면 질병이 유행할 징로라고 하며 눈이 내리면 보리농사가 풍년이 든다고 한다.
출처 : 세시풍속 ,나유정역학연구소 편저
제공 : 나유정역학연구소 010 8126 7250
필자 나유정은 ......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했다.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는 동안 학생들 개개인의 이성을 동양철학과의 상관성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동양학의 신비에 매료되어 교사를 퇴직하고, 원광대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는 한편 나유정역학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레이디경향 이달의 운세 작가로서 10년간 집필함. 개인상담도 해 드립니다. 상담료가 있고 전화와 면담등 모든상담은 미리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세 시 풍 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조리 (0) | 2017.11.23 |
---|---|
윤 달 (0) | 2017.11.22 |
부럼 깨기- 나유정역학연구소 (0) | 2017.11.15 |
성 묘 (0) | 2017.11.09 |
설 빔- 나유정역학연구소 (0) | 2017.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