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은 무엇을 공부하는 책인가?
'대학'만 공부 하다 보면 정신이 밖으로 산만해지죠. 그래서 그 다음은 안으로 정신을 집중하기 위해 '중용'을 공부합니다.
중용 첫장에 "하늘이 나한테 명한 것을 성품이라 하고 (천명지위성天命之謂性) 그 성품을 잘 따르는 것을 내가 가야 할 길, 도(道)라 하고 (졸성지위도箤性之謂道) 그 도를 잘 닦아나가는 것을 가르침, (敎)라고 한다(수도지위교修道之謂敎)"
그리고 기뻐하고 성내고 슬퍼하고 즐거워하는 것을 아직 내몸 밖으로 발표됨에 있어서는 절도에 맞게 하는(중절 中節)것을 아직 내 몸 밖으로 발표하지 않았을 때를 '가운데 중(中)'이라 하는데, 희로애락이 내 속에서 밖으로 발표됨에 있어서는 절도에 맞게 하는 (중절 中節)것을, '화할 화(和)'라 한다.
중(中)은 천하의 큰 근본이고 화(和)는 천하에 두루 통용되는 길임,로 이 중화(中和)를 이루면(치중화 致中和) 천지도 제 위치에 있게 되며(천지위언 天地位焉) 그 속에서 만물이 길러진다(만물육언 萬物育焉) 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중용을 배우면 안으로 정신이 집중됩니다.
참고 : 대산주역 강의중에서 -
제공 : 나유정역학연구소 010 8126 7250
필자 나유정은 ......
대학에서 교육학을 전공했다.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는 동안 학생들 개개인의 이성을 동양철학과의 상관성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동양학의 신비에 매료되어 교사를 퇴직하고, 원광대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하는 한편 22년째(2021년 기준)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나유정역학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레이디경향 이달의 운세 작가로서 10년간 집필함. 개인상담도 해 드립니다. 상담료가 있고 전화와 면담등 모든상담은 미리 예약하시기 바랍니다. 전공과목은 명리학, 작명, 풍수(양택풍수), 사주의학 입니다.
'주 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맹자와 논어를 공부하는 까닭은? (1) | 2019.01.15 |
---|---|
대학이란? (0) | 2019.01.13 |
칠서(사서삼경)의 최고봉인 주역 (0) | 2019.01.12 |
분서갱유(焚書坑儒)와 사구평대(沙丘平臺) (0) | 2019.01.12 |
주역이란?.... (0) | 2018.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