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 시 풍 속

12지일(十二支日) . 상자일(上子日)

정초 12지일(十二支日)



십이지일(十二支日)은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열이튿날까지를 일컫는 말이다.  즉 십이지에 따라 각 날을 쥐날(子日). 소날(丑日). 호랑이 날(寅日). 토끼 날(卯日). 용날(辰日). 뱀날(巳日). 말날(午日). 양날(未日). 원숭이날(申日). 닭날(酉日). 개날(戌日). 돼지날(亥日). 이라 부른다.  새해의 첫 십이지일이기에 '上(상)' 자를 앞에 붙여 상자일(上子日: 첫 쥐날). 상축일(上丑日: 첫 소날)등이라 부른다.


상자일(上子日)



상자일은 음력 정월에 처음 드는 쥐날이며, 경상북도 문경에서는 '디디기날(두더지날)' 이라고 부른다.  상자일에는 쥐를 퇴치하기 위해 콩 볶기. 쥐불놀이 등의 행위를 한다.  특히 쥐불놀이는 쥐 뿐만 아니라 겨울철 논. 밭에 있는 해충의 알과 유충을 없애는 기능을 한다.


상자일에는 쥐와 관련된 속신과 금기가 많이 나타난다.  먼저 이 날 바느질을 하게 되면 쥐가 많이 꼬여 곡식을 먹고, 집안에 쥐구멍이 뚫린다.  또한 생손가락(생인손)을 앓게 된다.  뒤주에서 쌀을 퍼내면 가난해진다.  부엌을 고치면 쥐구멍이 생긴다.  다른 집에서 잠을 자게 되면 그 집 사람이 죽게 되어 자지 않는다.  부득이하게 잠을 잘 경우 집 주인과 반대 방향으로 누워서 자야한다.  


경상북도 문경에서는 상자일에 장을 담그면 장독에 쥐가 빠진다고 하여 담그지 않는다.


전라남도 강진에서는 불을 켜면 쥐가 집에 구멍을 뜷는다고 하여 켜지 않는다.  제주도 남제주에서는 초가지붕을 일지 (새로덮는 것)않으며 제주에서는 수의(壽衣)를 만들지 않는다.


출처 : 세시풍속 나유정역학연구소 편저

상담신청 : 010  8126  7250

'세 시 풍 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인일(上寅日)  (0) 2018.02.13
상축일(上丑日)  (0) 2018.02.12
주머니 달아주기  (0) 2018.02.11
청 참(聽讖)  (0) 2018.02.09
세배  (0) 2018.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