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의(壽衣) -나유정역학연구소
상을 당한 후에 급히 수의를 만들려면 좋게 만들지 못하게 되고 또 시간이 결려 치장계획에 차질이 오는 경우가 많으므로 나이 많은 노인이 계신 집안에서는 윤 년이나 윤달을 택하여 수의를 미리 준비하여 두는 것이 좋다. 예전에는 날을 택하고 친족 가운데 잘 만들줄 아는 사람을 지휘자로 정성껏 만들었으나 근래에는 장의사가 알선하는 곳에 맡기는 것으로 대용한다. 만일 수의 준비가 없이 상을 당하였을 때는 발상하는대로 즉시 수의부터 서둘러 부탁하도록 한다. 남자의 수의는 바지, 저고리, 속바지, 주의(두루마기), 도포, 명목(얼굴 가리는 것), 악수(손을 싸매는 것), 엄두(머리를 가리는 것), 버선, 신, 조낭(염습할 때 손. 발톱을 깍아 넣는 주머니), 소렴금, 대렴금, 천금(시체를 덮는 이불), 지금(까는..
더보기
장례 계획서 (예)
1, 장례는 3일장인 가족장으로 하며 보모님 유언에 따른다. 2, 일체의 부의와 화환 등은 방명록으로 대신한다. 3, 장지는 미리 마련한 고향 선산 부모님과 합봉한 묘지로 한다. 4, 부고는 가까운 친척과 몸담은 직장에 한해 알리며 일체의 장례 노동력은 자손들이 직접 집행한다. 5, 장례의복은 남녀 모두 집에 있는 검정색 옷을 준비하고 상장(喪章)을 팔에 낀 것으로 통일한다. 6, 자손(친외손 까지) 전원이 장례식에 참가하여 가시는 길을 보도록 한다. 7, 조문객에게는 간단한 다과(茶菓)를 드린 후 정중한 예의를 표한다. 8, 운구는 장의차로 하고 고인의 명복은 국화꽃 한 송이를 바치며 문상객이 편리한 대로 절이나 기도를 한다. 9, 삼우제를 생략하고 장례 다음날 간단한 제를 지낸다. 10, 기일은 양력..
더보기
묘이장 개장- 나유정역학연구소
이장이란 묘지를 옮기는 것을 의미하고 개장은 다시 장사지낸다는 뜻이다. 이장을 하는 이유는 도로나 건물이 들어설 경우나 국토개발 등으로 현대에는 행하고 효심에 의하여도 하는 경우가 있다. 이장의 경우에는 윤년, 윤달 같이 손이 없는 날에 하나 개.화장은 아무때에 해도 무방하다. 이미 유골자체가 완전히 육탈하거나 소각되어 별다른 해가 없다고 보기 때문이다. 유의사항 1, 새 묘지 납골묘, 납골당, 산골을 정한다. 2, 옮길 날자를 정한다. 3, 염습할 준비물을 마련한다. 4, 종교의식 방법을 의논한다. 5, 이장할 전문가를 만나 구체적으로 상담논의한다. 6, 관 또는 유골함의 선택을 결정한다. 7, 제사에 필요한 음식 및 제구를 준비한다. 8, 유골의 수습은 조심스럽게 하고 한 조각의 뼈조각도 세심하게 수..
더보기
영결(永訣), 발인(發靷)
영결(永訣), 발인(發靷) 발인은 고인이 생전에 살던 집과 가족들로부터 떠나가는 의식이며 발인제 라고도 한다. 현대적 표현으로는 영결식이며 영결식의 형식은 고인의 신분에 따라 구분되는데 예를 들면 사회장, 단체장, 가족장 등이다. 사회장이나 단체장일 때는 장의위원회가 구성되어 그 위원회에서 영결식을 주재한다. 영결식의 장소는 상가의 뜰이나 공터, 교인일 때는 교회나 성당에서 거행하며그 식순은 아래와 같다.1, 개식2, 상제의 분향배례3, 고인의 약력보고4, 조사,조가5, 조객문상6, 호상인사7, 폐식 대개가 가족장인 발인제이므로 주상과 상제들의 제사가 끝난후에는 조객중에서 뜻있는 사람이 있으면 분향 재배할 시간적 배려를 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의위원회에서 영결식을 진행할 경우 제수를 전혀 준비하지 ..
더보기
조화(弔花), 조우조(朝于祖)
조화(弔花) 조화는 문상객이 조의를 표하기 위해 바치는 꽃으로 빈소에 조화를 진열한다. 가정의례법률 시행령 제4조 1항에 의거 화환 진열 허용범위는 10개 이내이다. 조화의 종류는 헌화용 조화(1송이씩) 국화, 장미, 카네이션을 바치며 영정용 조화 (바구니, 사진, 꽃장식), 스탠드 조화(1단, 2단, 3단) 제단 장식 조화(1단, 2단, 3단) 관, 장식 조화(상면 1단)차량장식(차량앞면)등이 있다. 조우조(朝于祖)출상하기에 앞서 이제 마지막으로 조상에게 고하는 절차이다. 관 앞에 차례로 서서 집례(執禮)가 금이길진천구감고(今以吉辰遷柩敢告)/ 이제부터 길한 시간에 관을 옮기려 감히 고하나이다) 하고 아뢰고 또 영좌 앞에 모두 모인 자리에서 조우조 / 조상 신위여, 이제 떠나오니 청하옵나이다)하며 곡을 ..
더보기